해군 주관, 유용원·김병주 의원 주최 ‘해군의 도전과 혁신’ 세미나 4차 산업혁명 기술 활용 해양영역인식 구축 감시·위협 대응 강화
해군이 해양영역인식(MDA)을 구축해 해양 감시 능력과 효과적 위협 대응 능력을 획기적으로 강화한다는 구상을 밝혔다. MDA는 통상 레이다, 선박, 항공기, 위성을 통해 해양영역은 물론 인접한 육지, 우주까지의 상황을 파악·감시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최성봉(대령·진) 해군본부 기획관리참모부 항공/무인전력과 총괄장교는 10일 국회의원회관 제1소회의실에서 열린 국회정책세미나에서 “해군의 MDA는 4차 산업혁명 기술을 활용해 데이터를 상시 수집·융합·분석해 한반도 주변 해역을 실시간 가시화함으로써 지휘관의 의사결정을 지원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면서 해양 유·무인 복합전투체계와 해군우주력발전계획을 MDA의 핵심 수단이라고 제시했다. 이어 무인전력 확보를 통해 최단기간 내 합동작전과 MDA에 기여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해군의 유·무인전력 운용 개념에 대해서는 “해군의 유·무인전력 운영 개념은 현재 유인전력 위주에서 로드맵에 따라 무인전력을 확보해 유·무인전력을 복합 운용하는 것”이라면서 우주·공중·수상·수중 등 영역별 효과적인 유·무인전력을 복합 배치해 임무 수행을 하게 될 것이라는 의견을 밝혔다.
각 해역·연안에 맞춰 배치된 유·무인전력을 운용하되 위기 고조와 전시 때에는 전방해역에 유인전력을 신속히 집중(보강)하고 측방해역·후방연안에는 무인전력 중심으로 운용한다는 의미이다.
아울러 최 대령(진)은 덕트팬형 무인기 V-BAT, 수직이착륙형 무인기 V270, 해상원거리정찰무인기 인터그레이터(Integrator) 등 무인기 해상전투실험 영상을 보여주면서 해군이 혹독한 해양 환경에서도 능력 발휘가 가능한 무인체계를 확보하기 위해 노력하는 활동을 소개했다.
해군이 주관하고 국회 국방위원회 소속 유용원·김병주 의원이 주최한 이날 세미나는 ‘해양무인체계 발전을 위한 해군의 도전과 혁신’을 주제로 열렸다.
이 밖에도 이날 세미나에서는 김종영 국방기술진흥연구소 연구원이 ‘해양무인체계기술 수준 및 확보 계획’을, 윤관섭 LIG넥스원 사업지원실장이 ‘임무장비 모듈화로 시작하는 해양 무인체계의 시대’를, 최병웅 한화시스템 무인체계센터장이 ‘빅데이터를 이용한 인공지능 기반 자동 기뢰탐지기술’을 발표했다.
또 김창호 제너럴아토믹 한국지사 전무이사는 ‘무인시스템/인공지능을 활용한 해상전력 퀀텀 점프’를, 남상완 한컴인스페이스 상무이사는 ‘한국형 원통형 드론의 해군 적용 기술 현황’을, 송이화 풍산 방산기술연구원 무인기술팀장은 ‘해양강군 구현을 위한 동축반전로터형 전투드론 활용 방안’을 발제했다.
양용모 해군참모총장은 개회사에서 “오늘날 무인체계는 전장의 모든 영역에서 아군의 비용과 피해를 최소화하면서 적을 가장 효과적으로 공격할 수 있는 주요 수단으로 자리매김했다”며 “해군은 무인전력을 나중에 네트워크로 연결·통합해 해양우세권을 장악하고 전력을 투사해 미래전에서 승리할 것”이라고 다짐했다.
성일종 국방위원장은 “무인체계가 필요한 곳이 바다 아니겠냐. 무인체계를 빨리 마련하고 더 앞서갈 수 있도록 노력해 달라”며 “오늘 세미나에서 논의된 많은 의견들이 해군이 급변하는 안보 환경 속에서 대한민국의 국익을 수호하고, 미래를 준비하는 데 올바른 방향을 제시할 수 있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김병주 의원은 “우리 군이 나가야 할 큰 방향 중 하나가 인공지능이 장착된 무인체계”라면서 “단순히 세미나로 끝나는 게 아니고 나중에 결과를 국방위에 보고하면 적극적으로 지원하겠다”고 역설했다.
유용원 의원은 “4차 산업혁명 기반의 과학기술 발전은 해양무인체계의 개발과 운영을 가능하게 하고, 작전 능력을 극대화하고 인명 피해를 최소화하는 데 크게 기여할 수 있다”면서 “해양 무인체계 발전을 위한 제도, 예산 등을 적극 지원하겠다”고 피력했다. 임채무 기자
Comentarios